오늘은 작업장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작업, 즉 진동작업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진동작업은 작업자가 기계나 장비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경험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진동작업의 개요, 법적 규제, 예방 및 관리 방안에 대새 설명하겠습니다.
진동작업의 개요
진동작업은 작업자가 기계나 도구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경험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는 산업 현장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주로 건설업, 제조업, 농업, 광업 등에서 발견됩니다. 진동은 국소진동과 전신 진동으로 나뉩니다. 국소진동은 주로 손이나 팔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으로 , 전동공구, 체인톱, 해머 드릴 등을 사용할 때 발생합니다. 전신 진동은 주로 몸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으로, 트럭 운전, 중장비 운전, 기계 작업 등을 할 때 발생합니다. 진동작업은 장기간에 걸쳐 작업자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요 위험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소진동증후군(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은 손과 팔에 지속적으로 진동이 전달되면 혈관, 신경, 근육, 관절에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신 진동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발생하는데, 전신 진동은 허리 통증, 척추 디스크 손상, 소화기 장애, 신경계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운전이나 중장비 작업을 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동작업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건강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혈관 장애입니다. 국소 진동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액 순환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손가락이 하얗게 변하고, 감각이 둔해지는 레이노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신경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진동 노출은 신경을 손상시켜 손과 팔의 감각 저하, 마비,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근골격계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동은 근육과 관절에 부담을 주어 근육 약화, 관절염, 손목 터널 증후군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네번째, 허리 및 척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신 진동은 특히 허리와 척추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허리 통증, 디스크 문제, 만성 요통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법적 규제
많은 국가에서는 작업장에서의 진동 노출을 관리하기 위해 법적 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는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한국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을 통해 작업장에서의 진동 노출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사업주는 정기적으로 작업자의 진동 노출의 유해성을 주지시키고 관해야합니다. 이는 작업자의 건강을 미리 예방 조치 하기 위함입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519조 유해성의 주지에서는 사업주는 근로자가 진동작업에 종사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근로자에게 충분히 알려야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증상 두번째, 보호구의 선정과 착용 방법 세번째, 진동 기계기구 관리방법 네번째, 진동 장해 예방방법을 주지시킴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예방 조치도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 520조 진동 기계기구 사용설명서의 비치 등에서 사업주는 근로자가 진동작업에 종사하는 경우에 해당 진동 기계기구의 사용설명서 등을 작업장 내에 갖추어 두어야 하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제521조 진동기계 기구의 관리에서는 사업주는 진동 기계기구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시 점검하여 보수하는 관리를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입니다. 이러한 예방 조치는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진동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는데 기여합니다.
예방 방법 및 관리 방안
진동작업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예방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예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진동 저감 장비를 사용합니다. 진동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공구와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진동 저감 손잡이, 진동 흡수 장갑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작업 시간 관리를 합니다. 진동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작업중 정기적인 휴식 시간을 마련하여 진동에 의한 피로를 줄입니다. 세번째, 올바른 작업 방법 교육을 합니다. 작업자들엑 ㅔ올바른 작업 방법과 진동 저감 기술을 교육하여 진동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네번째, 장비 유지 보수를 합니다. 정기적인 장비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진동 발생을 최소화합니다. 다섯번째, 작업 환경 개선을 합니다.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진동 전달을 줄입니다. 예를 들어, 작업대의 진동 흡수 패드를 설치하거나, 작업공간의 바닥을 진동 저감 소재로 덮을 수 있습니다. 진동 작업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진동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주요 방안입니다. 첫번째, 진동 노출 모니터링을 합니다. 작업자의 진동 노출 수준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진동 노출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니다. 이를 위해 진동 측정 장비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입니다. 작업 관경과 작업 방법을 평가하여 진동 노출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 위험성이 높은 작업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예방조치를 시행합니다. 세번째, 건강검진을 실시합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작업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진동으로 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네번째, 작업 환경 개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작업 공간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진동 흡수 소재를 사용하여 진동 전달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섯번째, 작업자의 참여를 이끌어냅니다. 작업자들의 진동 관리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합니다. 작업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진동 노출을 최소화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야하겠습니다.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WBGT(습구흑구온도지수) 적용, 중요성, 사례 (0) | 2024.06.18 |
---|---|
충진탑 기능, 인체공학적 설계 (0) | 2024.06.17 |
무효점(Null Point)정의, 중요성, 사례 (0) | 2024.06.16 |
냉장고의 감성적 디자인, 장점 (0) | 2024.06.15 |
감성공학, 창의성, 실험,다양한 문화,공감성 (0) | 2024.06.15 |